Once It Sets, I`ll Pass It On



Junhyung Lee


The title of Jeman Seo’s first solo exhibition, “Once it sets, I’ll pass it on.” expresses the way in which he positions himself between memory and anticipation. A certain memory that has solidified and become immobile is captured by a predicate and placed back in time. It will be passed on, but the traces left by charcoal, graphite, and paint are pressed firmly into the canvas. These may dry and crumble away into powder, but they will not melt at room temperature.
Must one turn back in order to be remembered? What we are presented with are “fierce landscapes,” complex surfaces where it is difficult to discern the boundary between line and plane. But upon closer inspection, one realises that the various elements filling up the surface do not hide their origins. This line is a stroke in a sort of dry medium, going from one corner to another, and the paint is simply wiped on top. Another line is laid on top of this, and a few motifs found at the end of this line are repeated on a smaller scale. None of these tangled, hardened traces are hard to distinguish. Perhaps what has stupefied me is a cause and effect as sharp as a blade. So must I turn back? Rather than reenacting the contents of a memory, Seo repeatedly depicts what seems to be the process of memory itself solidifying. The lines, which are forces that divide an area with their particular directionalities, contend and crash with one another to create one single territory. On the other hand, when everything else is variable and fluid, the work becomes a matter of settling and solidifying. In order not to disappear while being transported to the exhibition space, in order to reduce the error between what I see and what I am meant to see, the paintings had to become solidified. The solidified substance on the canvas is the painting, and the painting is itself solidified. These resolute testimonies perhaps stem from the peril and chaos that he experiences in his world. In that world, memory is from the beginning a distortion, and in the blink of an eye, objects change in appearance and in location. Thus the solidifying of things is left in a state in which objects find themselves, and the paintings are suspended in an instant before they are revived and distorted once again.



-



굳으면 전해 주어야지



이준형


서제만의 첫 개인전 제목, 《굳으면 전해 주어야지》는 기억과 기대 사이에 그가 자리잡는 방식을 표현한다. 굳어 움직이지 못하게 된 어떤 기억은 전달에의 의지를 나타내는 서술어에 걸려 다시 시간 속에 놓인다. 그는 전해 줄 것인데, 콩테와 흑연, 물감이 남긴 자국들은 캔버스 위에 눌러붙어 있다. 그것들은 말라 바스러져 가루가 떨어질지언정 상온에서 녹아내리지 않는다.
기억하기 위해 되돌아가야 하는가? 주어진 것은 ‘격앙된 풍경’들, 선과 면의 전후관계를 분간하기 어려운 복잡한 화면들이다. 그러나 조금 더 다가서면 그 화면을 채운 요소들이 스스로의 기원을 숨기지 않음을 알게 된다. 이 선은 건재료로 한 쪽 구석에서 다른 쪽 구석까지 그어졌고, 물감은 그 위로 얹어져 닦아내듯 발려 있다. 그 면적 위로 또 다른 선이 그어지고, 그 선의 끝에 나타난 몇 가지 모티프들은 작게 반복되어 있다. 엉겨서 굳어 있는 흔적들 중 분별하기 어려운 것은 없다. 나를 멍하니 멈춰 있게 만든 일들은 칼날처럼 분명한 인과에 속할지 모른다. 그러니 되돌아가야 할까? 서제만은 기억의 내용들을 되살려 재현하기보다, 기억이 응고되어가는 과정과 같은 것을 그림에서 반복했다. 영역을 분절하며 특정한 방향을 갖는 힘인 선들은 서로 경합하고 충돌하며 하나의 지대로 남았다. 한편으로 다른 모든 것이 가변적이고 유동적일 때 작업은 가라앉혀 굳히는 일이 된다. 전시장으로 옮겨 오는 동안 사라지지 않기 위해, 내가 보는 것과 네가 볼 것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그림은 굳어 있어야 했다. 캔버스 위에 굳어 있는 질료들은 그림이고, 그림은 굳어 있다. 비장해서 김이 새는 그 진술들은 그가 세계 속에서 겪는 위험과 혼란에서 나온 것일 수 있다. 그 세계에서 기억은 가장 첫 순간에서부터 왜곡과 다르지 않고, 몇 번의 눈깜빡임 사이에 사물들은 모습과 자리를 바꾼다. 따라서 굳어짐은 사물들이 잠시 찾는 상태로, 그림들은 다시 환원과 곡해를 겪기 전 일시정지해 전시장에 걸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