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12. 31.


유동하는 언어, 반건축적 풍경
서제만 개인전 〈굳으면 전해 주어야지〉(2023. 10. 19. - 2023. 11. 11., Hall 1)


남수빈


우리는 세계를 감각하는 동시에 사고한다. 감관에 쏟아지는 무정형의 세계로부터 경계를 한정하여 사물의 형태를 규정하고, 이름을 붙여 분류하며, 그 사이에서 규칙과 질서를 발견하여 인간적 의미를 길어내 세계를 지어올린다. 그러나 어떤 이들은 이 성근 의미망의 틈새를 들여다보고, 언어화되지 않는 것들의 형체 없는 몸을 찾아 기꺼이 말 이전으로 뛰어들고자 한다. 서제만의 첫 번째 개인전 〈굳으면 전해 주어야지〉는 공간과 정서의 얽힘을 그린 회화를 통해 이런 탐색의 흔적을 보여준다.
      영등포의 폐공장을 개조한 복층의 전시장 Hall 1의 철문을 밀고 들어가면 흰 벽면에 걸린 11점의 회화가 관객을 맞이한다. 너비와 높이가 한 팔의 길이와 비슷한 것부터 성인 남성의 키만 한 것까지, 크기는 다양하지만 모두 신체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이들 작품은 전시장의 바닥부터 천장에 이르는 거대한 스펙터클로 관객을 압도하거나 멀리서 조망케 하는 대신, 화면에 남은 운동의 종적을 주의 깊게 바라보도록 관객의 발길을 그림 가까이로 이끈다.
      첫눈에 시선을 끄는 것은 빠르고 강한 선들이 불규칙한 색면과 뒤엉키며 남긴 움직임이다. 채도 높은 보색들이 모여 이루는 비정형의 색면들은 화면을 지탱한다. 기름이 혼입된 유화 물감의 엷은 층 너머로 마른 밑칠이 비쳐 보이는가 하면, 물감이 미처 굳지 않은 상태에서 칠이 가해져 본래의 빛깔을 잃고 혼합된 모습 또한 보인다. 붓의 자취를 드러내는 묽은 칠 사이 곳곳에는 캔버스의 흰 면이 헐벗은 채 드러나 있기도 하다. 흑연, 오일 파스텔, 색연필 등의 건식 재료로 그어진 색색의 선은 화면의 구성이 안정에 이르지 못하도록 허물어뜨리려는 듯 색면들을 질서 없이 분할하고 그 사이로 침투한다. 어떤 선들은 다시 선과 선 사이를 채우는 색면을 동반하고, 어떤 면은 붓의 촘촘한 움직임이 점차로 느슨해지는 것을 보여주며 다시 선으로 흩어진다. 선과 면은 곧 구분할 수 없이 섞여들고, 그 결과물은 어떤 균질성에서도 벗어난다. 시선의 끝에서 익숙한 형상을 찾아내려는 습관적인 기대는 곧 좌절된다.
      그러나 주의를 기울이면 이 유동하는 흔적들 너머로 공간의 잔해가 떠오르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공간은 고정된 하나의 시점을 따라 원근법적으로 재현되는 대신, 공간 안에서 이동하는 신체가 감각한 구조의 닫힘과 열림, 그 안팎을 흐르는 대기, 그것이 실어나르는 빛과 소리, 온도 등을 통해 공감각적으로 구성된다. 산재된 잔해에서 관객이 모종의 공간을 감지해낼 수 있는 것은 수평에서 수직 또는 사선으로, 곡선에서 직선으로 이어지는 선들이 건축물의 윤곽이나 뼈대를 해체한 듯 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은 때로 굵고 짧은 직선들과 작게 분할된 면들이 두드러지는 〈궁륭과 여섯 기둥〉에서처럼 큐비즘 회화를 닮은 결과물을 낳기도 한다. 그러나 큐비즘이 다원적 시점을 통해 대상을 낱낱이 파악하고 하나의 화면 안에서 장악하려 든다면, 서제만은 시각의 인식적 기능을 특권화하기보다는 공간 속에 놓인 신체가 온몸으로 겪는 감각과 정서에 집중한다. 큐비즘의 주체가 시선의 권력을 휘두르며 자신이 수립한 질서와 규칙으로 대상을 규정하려는 자라면, 서제만의 주체는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들이치는 감정의 파도를 느끼는 자다.
      작가의 말에 따르면 이들 작품의 시작점은 여행이나 산책에서 마주친 특정한 장소나 공간, 건축물 또는 구조물이다. 기억으로 남거나 사진으로 기록된 장소는 드로잉을 거쳐 변형되며, 작가는 이 드로잉 가운데 하나 또는 여러 장을 가져와 캔버스로 옮겨 간다. 이 단계에서는 장소가 환기하는 “기억과 경험, 정서, 세상을 받아들이는 방식같은 것들이 뒤죽박죽 반죽이 되어 올라간다.”(2023. 11. 15. 작가와의 서면 인터뷰 중에서, 이하의 인용은 모두 동일 출전임) 작가는 이 과정이 자신의 신체를 사용해 행위하고 이를 물리적 흔적으로 남기는 일이라 여기며, 언어로 붙잡을 수 있는 구체적 대상들 대신에 부유하는 감정들을 찾아서 “정지해 있지 않은 상태, 다시 말해 불안정한 상태”라는 미결정의 시공간으로 나아간다.

내가 먼저 그은 흔적을 뚫고 넘어갈 것인가? 아니면 이것들을 무시하지 않고 존중하고 돌아서 갈까? 큰 붓을 들고 영역을 만들면서는, 이 공간의 경계는 어디까지인가? 나는 저 너머까지 이 색을 머금고 채워갈 수 있는가? 아니면 여기서 결단을 내려서 어떤 선이나 경계도 없지만 멈춰야 하는가? 같은 것들. 나는 이런 것들을 즉흥적으로 선택하고 싸워가며 그림을 그린다고 느끼는데, 그러면서 원래의 조형은 뼈대나 타서 없어진 흔적처럼만 남고 새로운 정서의 풍경으로 변해버리는 것이다.

      작품의 출발이 되는 것은 특정한 장소지만, 작업의 이런 과정을 추동하는 것은 장소가 일깨운 기억과 그에 뒤엉킨 정서다. 그러나 “쏟아져 나오는 […] 이미지나 정서들”을 따라 움직이는 이런 과정에서 장소나 사건이 지닌 구체적인 요소들, 이름을 지닌 것들은 점차로 연소된다. 그 결과 관객의 눈앞에 도착하는 것은 형상의 경계와 구조를 허무는 신체적 움직임의 자취들이다. 그림 속에서 모습을 드러내는 공간은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이성적 질서의 견고한 구조물이 아니라, 규정된 의미 아래 굳어지기를 거부함으로써 언어로 지어올린 상징계의 건축술을 해체하는 반건축적 공간이다. 반투명한 벽처럼 보이는 색면을 동반하며 공간을 암시하는 직선들조차도, 여기서는 구조를 지어올리는 데 봉사하는 대신 확고한 실재처럼 보이던 구조가 실은 기억과 정서의 틈입 앞에서 쉽사리 흩어질 취약한 것임을 증거한다. 건축의 정형과 정서의 비정형 사이 긴장과 역동은 관객의 적극적인 주목을 요구하며, 관객은 악보를 묵독하듯 그림 속의 운동을 따라가며 몸의 감각과 정서를 재생해 낸다.
      이러한 서술이 모든 그림에 고르게 적용되지는 않는다. 〈거울과 뼈대〉 한 편의 선명한 격자 무늬, 〈기우뚱한 초소〉의 넓은 표면에 걸쳐 반복되는 줄무늬처럼 철망이나 타일, 벽돌을 연상시키는 패턴은 이런 유동성을 약화한다. 또 무게가 비교적 고르게 분산된 다른 작품들이나 가장자리를 색면으로 채워 시선을 내부의 파열로 유도하는 〈멀리선 구불구불 가까이선 평평〉과 달리, 〈거울과 뼈대〉에서 두터운 칠이 여러 겹 발린 아랫면과 투명한 윗면의 대비는 전경과 배경이라는 풍경화의 전형적인 구도를 연상시킨다.
      관객을 사로잡는 것은 이들보다는 원근법적 공간을 적극적으로 해체하고 미미한 암시만을 남긴 화면이다. 작은 캔버스 안에 비교적 크고 단순한 움직임이 집약된 〈있던 장소 1〉이나 〈호처럼 미끄러지기〉를 통해 전시장에 들어찬 몸의 언어에 익숙해지고 나면, 더 큰 화면 속 혼잡한 광경이 눈에 들어온다. 사선들이 도형으로 닫히지 않은 채 엷은 칠과 불규칙한 드로잉 속에서 분산되는 〈지붕과 기둥과 지붕과 기둥〉, 가는 선들이 어지럽게 얽힌 와중에 벽을 연상시키는 희뿌연 면들이 나타나는 〈멀리선 구불구불 가까이선 평평〉, 대칭을 이룬 붉은 호 한 쌍 아래 거칠게 혼합된 색들이 빽빽하게 엉킨 〈지금 막 되어가는 중에〉 등이다. 이처럼 와해된 공간 속에서 시선은 정해진 방향 없이 자유롭게 약동하며, 과거의 침습으로 무화된 선형적 시간의 잿더미 위를 순서 없이 유랑한다.
      칠 없이 생경하게 비워진 중앙부가 시사하는 미결 상태를 바라보다 몸을 돌리면, 강렬한 울트라마린이 중심부를 넓게 차지한 〈없는 수변 공원〉이 전시의 축이자 정점으로서 존재감을 발산한다. 중점에서 칼날처럼 뻗어나온 검은 사선 두 개는 가장자리의 사선들과 이어지며 얼핏 소실점을 가리키는 듯하지만, 깊이를 가늠할 수 없는 푸른 영역은 투시도법에 정렬되지 않으며 이내 그러한 규정을 중단시킨다. 뒤편에 엿보이는 격자 형태는 앞선 두 그림에서처럼 정적인 대상을 지시하는 대신 전면의 강한 색과 선에 밀려 저편으로 흩어지고 있기에 그림의 유동성을 방해하지 않으며, 잎이 달린 나뭇가지를 연상시키는 상단의 형상 역시 조각조각 부서지고 있다. 알려진 이름들 아래 감각들을 포섭하고, 감정의 약동을 단일한 의미 아래 고정시키려는 이성의 욕구는 번번이 실패에 이른다.
      작가는 자신이 “표현하려는 것을 언어적으로 정리할 수 없”기에 “불명확한 형상들”을 그릴 수밖에 없다고 진술한다. 이런 행위는 단순히 해묵은 감정을 토해내는 것을 넘어 “새로운 언어 체계”를 짓는 일이다. 이 언어란 결코 “‘A는 B다’ 같은, 점과 점을 잇는 선분 같은” 문장들의 집합이 아니다. 이런 단정적 명제들은 견고한 기둥과 골조로서 기능하며, 사유와 이론이 오랫동안 범례로 삼아온 건축적 질서를 떠받친다. 반면 이들 그림의 언어는 “A는 a와 b와 c와 d와 그 외에 다른 것을 포함한다. 그중 d는 가끔은 A가 아닐 때도 있지만 그때는 A였다”와 같은 미정적 발화들의 유동적 군집에 가깝다. 이 군집은 부단히 모이고 퍼지며 방향도 순서도 없이 질서의 구조물 사이를 표류한다.
      이 언어가 닮고자 하는 것은 단단한 윤곽을 지닌 대상의 찬란한 위용이 아니라 “담벼락의 낙서, 깨진 바닥 타일, 물이 흐른 자국, 스크래치 입은 자동차 표면”처럼 지워내야 마땅할 흠집의 남루함이다. 중력과 재난, 시간의 흐름에 저항하며 거대한 구조물을 지탱하는 기둥과 골조가 아닌, 외부의 침습적인 힘 앞에 무력하게 노출된 연약한 표면이 작가를 이끈다. 손상된 표면을 닮은 흔적들을 캔버스 위에 긋고 문지르고 닦아내고 긁어내면서, 작가는 대상의 경계를 잠식하고 마모시키는 정서의 너울을 몸으로 톺으며 눈앞에 불러온다.
      그 지난한 시간 동안 작가는 무언가가 해소되었다고 느끼기도 하지만, “구태여 지저분한 진창으로 들어가 끝나지 않는 싸움을 하고 있다고 느낄 때도 있다.” 이 싸움은 무엇을 위한 것인가? 이들 그림을 이루는 언어는 비단 사적인 해소의 장에 그치지 않는다. 규범적 질서의 안정된 지붕 아래를 벗어나 소음과 열기 한복판으로 걸어들어가며, 작가는 기존하는 언어 안에서 자리를 갖지 못한 것들을 위해 새로운 질서를 발명해낸다.
      이는 외력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려는 의지적 질서가 아니라, 자신을 위험에 내맡기는 무의지적 질서다. 의지란 이미 확립된 언어에 의해 구성되며 굳어진 앎의 질서 내에서 작동하기에, 알려진 이름들의 경계 안에 동일한 것들을 포섭하며 의미의 구조를 공고히 할 수 있을 따름이다. 그러나 감각과 정서의 범람, 기억의 습격 앞에서 무능에 빠진 주체는 규정되지 않은 것들의 불가해성 앞에 스스로를 개방하고, 합의된 언어의 불완전성을 목격하며 그 틈새 너머 새로운 질서의 가능성을 발견한다. 이 새로운 질서는 단일한 의미로 사물을 장악하려는 시각의 일방향적 작동을 훼방하며, 그 안에서 우리는 의미의 경계 안에 한정되지 않는 몸의 감각에, 약동하며 팽창하는 정서의 불가해한 경로에 스스로를 내맡긴다. 이런 수동성은 이제껏 발견되지 않았던 풍경들을 열어젖히고, 그 속에서 우리는 의미망의 구멍들 사이를 유영하며 말의 바깥에서 호흡하는 법을 새로이 배울 수 있게 된다.